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자동차 산업 긴장…

2025. 1. 23. 07:50경제/시장에 대한 정보 알아가기

728x90
반응형

네이버증권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자동차 산업 긴장… 현대글로비스·모비스의 수혜 가능성은?

 

 

  트럼프 행정부 2기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해 자동차 산업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수입 자동차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관련 기업들의 전략 재조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글로비스와 현대모비스는 각각의 강점을 통해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1. 현대글로비스: 물류 수요 증가로 인한 성장 기대

  현대글로비스는 현대자동차그룹의 물류를 담당하는 핵심 계열사로, 미국 내 완성차 협업을 통해 구조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특히, 내연기관차(ICE)와 하이브리드차(HEV)의 수요 반등에 따라 부품 물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현대차그룹이 미국 내 제철소 건설을 목표로 약 1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인 만큼, 철강산업 특성상 발생하는 대규모 물류 사업에서 현대글로비스의 매출 급등이 기대됩니다.

 

 

2. 현대모비스: 관세 정책의 반사 이익 전망

  현대모비스는 미국 시장에서 사후서비스(AS) 순정 부품 부문에서 중국, 대만, 멕시코 등으로부터 수입된 저가 부품과 경쟁해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 정책이나 멕시코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이러한 저가 부품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어 현대모비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모품 성격의 AS 부품은 관세를 가격에 전가하기도 용이하여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3. 자동차주 실적 전망과 투자 전략

  KB증권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현대차,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가 시장 컨센서스를 각각 0.3%, 4.9%, 4.8% 상회한 3조 5000억 원, 8361억 원, 4671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면, 기아의 경우 영업이익이 2조 7000억 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5.7% 하회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따라 KB증권은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기아, 현대차 순서로 투자 선호도를 제시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4. 결론 및 투자 시사점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관세 정책은 자동차 산업 전반에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대글로비스와 현대모비스는 각각의 강점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를 주시하며, 구조적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을 선별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이 글은 투자에 대한 조언이 아니며, 각 기업의 투자 가치는 철저한 분석과 검토를 통해 판단하시길 권장합니다

728x90
반응형